본문 바로가기
파이썬

[백준 단계별 1단계 입출력과 사칙연산 파이썬] 2557, 1000, 1001, 10998, 1008, 10869, 10926, 18108, 10430, 2588, 11382, 10171, 10172

by 코코쵸마 2024. 1. 16.

#2557 Hello World

print("Hello World!")

 

문자열 출력하는 법 "" 나 ''

 

#1000 A+B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
A, B 두 문자를 스페이스로 구분해서 입력받을 때

A, B = input().split()를 쓴다

변수 하나씩 입력받을 때는 엔터로 구분되고

A = input()

B = input()

으로 할 수 있다

 

파이썬에서는 기본적으로 input()만 하면 문자열로 인식한다

따라서 정수인 A, B를 입력받기 위해선 map함수를 써서 int로 받아줘야한다

map함수는 두 변수 모두 형태가 같을 때 쓰고

변수 하나만 입력받을때는 A = int(input())으로 쓴

 

#1001 A-B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-B)

 

#10998 AxB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*B)

 

#1008 A/B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/B)

 

A, B가 정수일때

A//B는 몫, A%B는 나머지, A/B는 나눗셈결과(실수)로 나온다

 

#10869 사칙연산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print(A-B)
print(A*B)
print(A//B)
print(A%B)

 

#10926 ??!

print(input()+"??!")

print함수 안에 +와 문자열을 쓰면 이어져 출력된다

 

#18108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?!

print(int(input()) - 543)

연도 시작 연도가 다르기 때문에 년도 차이를 넣어주면 된다

 

#10430 나머지

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(A+B)%C)
print(((A%C)+(B%C))%C)
print((A*B)%C)
print(((A%C)*(B%C))%C)

복잡해보이는 연산. 문제 따라서 그대로 하면된다

 

#2588 곱셈

a = int(input())
b = int(input())
A = a*(b%10)
B = a*((b%100)//10)
C = a*((b%1000)//100)
print(A)
print(B)
print(C)
print(A + 10 * B + 100 * C)

->문자열, 문자열+반복문, 산술연산자 풀이

 

#11382 꼬마 정민

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+C)

 

#10171 고양이

print("\\    /\\")
print(" )  ( ')")
print("(  /  )")
print(" \\(__)|")

특수문자 백슬렉시\, 작은따옴표', 큰따옴표"를 출력할때

앞에 백슬래시를 붙여야 오류없이 출력할 수 있다

 

#10172 개

print("|\\_/|")
print("|q p|   /}")
print("( 0 )\"\"\"\\")
print("|\"^\"`    |")
print("||_/=\\\\__|")